• 2022. 9. 7.

    by. 리-유

    반응형

    한국에 삼성페이가 있다면 미국은 애플페이가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애플페이 사용은 불가능했기에 아이폰 사용자들의 불만이 나날이 늘었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삼성페이를 사용하기 위해 갤럭시로 바꾸는 사람도 간혹 있었다. 하지만 12월부터 아이폰 사용자들은 전국 모든 편의점, 스타벅스, 이마트, 코스트코 등 대형가맹점에서 애플페이로 간편결제를 할 수 있다. 애플사가 현대카드와 손잡고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만 선보였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를 한국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결정한 것이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최근 현대카드와 애플은 국내에서 ‘애플페이’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 1년짜리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고 한다 .
    현대카드는 NFC 단말기를 이미 구축하고 있는 대형가맹점 위주로 애플페이를 시범 서비스할 계획이며 12월부터는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할리스 등의 커피전문점, 대형마트인 코스트코와 이마트, CU / GS25 / 이마트24 / 세븐일레븐 / 미니스톱 등 전국 편의점을 포함해 60여개 브랜드에서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 늦어도 12월부터 애플페이를 상용화하는데 목표로 하고 있다.
    애플은 예전부터 국내 애플페이 도입을 위해 꾸준히 국내 카드사들과 접촉을 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내에서 애플페이 사용을 위해서는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가 필요하며, 애플사 통신 규약에 맞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 NFC 단말기 보급 대수가 10%에 불과한데다 사용 수수료 등으로 인해 빈번히 국내 도입이 무산됐었다. 한국은 모든 곳이 마그네틱 결제 단말기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현대카드는 이번에 이 비용의 최대 60%를 지원하기로 하면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현대카드는 가맹점이 NFC결제가 가능한 단말기로 교체하거나, NFC 단말기가 있더라도 사용규격을 국제표준으로 바꿔 애플페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경우 프로모션 등을 걸어 비용부담이 크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단말기 비용 20만원 중 최대 12만원을 할인, 가맹점이 8만원에 살 수 있게 지원해준다는 얘기다.
    특히 MZ세대가 애플 제품을 많이 사용하는 만큼, 젊은 고객층을 한 번에 끌어들일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 6월 조사한 결과를 보면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중 아이폰 사용자는 22%다. 특히 20대는 52%, 30대는 42%로 20·30세대 아이폰 충성 고객이 상당하다. 현대카드는 이들을 장기 고객으로 유입시키려는 전략이다. 현대카드는 이번 애플페이 도입으로 4위에 머물러 있는 시장점유율을 크게 높일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